![]() 
                    
                      
                      
                      💡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고급편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리플렉션직접 프록시 클래스를 만들어서 개발한다면 프록시 클래스가 가리키는 대상 클래스 수 만큼 프록시 클래스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다. 자바가 기본으로 제공하는 JDK 동적 프록시 기술이나 CGLIB 같은 프록시 생성 오픈소스 기술을 활용하면 프록시 객체를 동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쉽게 이야기해서 프록시 클래스를 계속 만들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프록시를 적용할 코드를 하나만 만들어두고 동적 프록시 기술을 사용해서 프록시 객체를 찍어내면 된다. JDK 동적 프록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바의 리플렉션 기술을 이해해야 한다.리플렉션 기술을 사용하면 클래스나 메서드의 메타정보를 동적으로 획득하고, 코드도 동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 
                    
                      
                      
                      💡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고급편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데코레이터 패턴 적용 전Componentpublic interface Component {    String operation();} RealComponent@Slf4jpublic class RealComponent implements Component {    @Override    public String operation() {        log.info("RealComponent 실행");        return "data";    }}DecoratorPatternClient@Slf4jpublic class DecoratorPatternClient {    private Component component;    publi..
                     
                   
                
                  
                    ![]() 
                    
                      
                      
                      💡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고급편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프록시 기본 개념프록시에 대해서 알아보자 클라이언트(Client)와 서버(Server)라고 하면 개발자들은 보통 서버 컴퓨터를 생각한다.사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개념은 상당히 넓게 사용된다. 클라이언트는 의뢰인이라는 뜻이고, 서버는 '서비스나 상품을 제공하는 사람이나 물건'을 뜻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기본 개념을 정의하면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필요한 것을 요청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것이다. 이 개념을 우리가 익숙한 컴퓨터 네트워크에 도입하면 클라이언트는 웹 브라우저가 되고,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는 웹 서버가 된다. 이 개념을 객체에 도입하면, 요청하는 객체는 클라이언트가 되고, 요청을 처리하는 객체는 서버..
                     
                   
                
                  
                    ![]() 
                    
                      
                      
                      💡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고급편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Overview앞서 전략 패턴에서 ContextV2는 변하지 않는 템플릿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변하는 부분은 파라미터로 넘어온 Strategy의 코드를 실행해서 처리한다. 이렇게 다른 코드의 인수로서 넘겨주는 실행 가능한 코드를 콜백(callback)이라 한다.콜백 정의프로그래밍에서 콜백(callback) 또는 콜애프터 함수(call-after function)는 다른 코드의 인수로서 넘겨주는 실행 가능한 코드를 말한다. 콜백을 넘겨받는 코드는 이 콜백을 필요에 따라 즉시 실행할 수도 있고, 아니면 나중에 실행할 수도 있다. (위키백과 참고)쉽게 이야기해서 callback은 코드가 호출( call )은 되는데 코드를 넘겨준 곳의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