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고급편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빈 후처리기@Bean이나 컴포넌트 스캔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면, 스프링은 대상 객체를 생성하고 스프링 컨테이너 내부의 빈 저장소에 등록한다. 그리고 이후에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등록한 스프링 빈을 조회해서 사용하면 된다.빈 후처리기 - BeanPostProcessor스프링이 빈 저장소에 등록할 목적으로 생성한 객체를 빈 저장소에 등록하기 직전에 조작하고 싶다면 빈 후처리기를 사용하면 된다. 빈 후처리기 과정생성: 스프링 빈 대상이 되는 객체를 생성한다. ( @Bean, 컴포넌트 스캔 모두 포함)전달: 생성된 객체를 빈 저장소에 등록하기 직전에 빈 후처리기에 전달한다.후 처리 작업: 빈 후처리기는 전달된 스프링 빈 객체를 조작하거..
Spring/AOP
💡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고급편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포인트컷, 어드바이스, 어드바이저포인트컷( Pointcut ): 어디에 부가 기능을 적용할지, 어디에 부가 기능을 적용하지 않을지 판단하는 필터링 로직이다. 주로 클래스와 메서드 이름으로 필터링 한다. 이름 그대로 어떤 포인트(Point)에 기능을 적용할지 하지 않을지 잘라서(cut) 구분하는 것이다어드바이스( Advice ): 이전에 본 것 처럼 프록시가 호출하는 부가 기능이다. 단순하게 프록시 로직이라 생각하면 된다.어드바이저( Advisor ): 단순하게 하나의 포인트컷과 하나의 어드바이스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쉽게 이야기해서 포인트컷1 + 어드바이스1이다.정리하면 부가 기능 로직을 적용해야 하는데, 포인트컷으로 어디에? 적용..
💡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고급편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프록시 팩토리동적 프록시를 사용할 때 문제점인터페이스가 있는 경우에는 JDK 동적 프록시를 적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CGLIB를 적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두 기술을 함께 사용할 때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JDK 동적 프록시가 제공하는 InvocationHandler와 CGLIB가 제공하는 MethodInterceptor를 각각 중복으로 만들어서 관리해야 할까?특정 조건에 맞을 때 프록시 로직을 적용하는 기능도 공통으로 제공되었으면?Q: 인터페이스가 있는 경우에는 JDK 동적 프록시를 적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CGLIB를 적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스프링은 유사한 구체적인 기술들이 있을 때, 그것들을 통합해서 일관성..
💡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고급편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CGLIBCGLIB: Code Generator LibraryCGLIB는 바이트코드를 조작해서 동적으로 클래스를 생성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이다.CGLIB를 사용하면 인터페이스가 없어도 구체 클래스만 가지고 동적 프록시를 만들어낼 수 있다.CGLIB는 원래는 외부 라이브러리인데,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스프링 내부 소스 코드에 포함했다. 따라서 스프링을 사용한다면 별도의 외부 라이브러리를 추가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우리가 CGLIB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후에 설명할 스프링의 ProxyFactory라는 것이 이 기술을 편리하게 사용하게 도와주기 때문에, 너무 깊이있게 파기 보다는 CGLIB가 무엇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