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우 많은 클래스가 등장하면서 관련 있는 기능들을 분류해서 관리하고 싶을 것이다.컴퓨터는 보통 파일을 분류하기 위해 폴더, 디렉토리라는 개념을 제공한다. 자바도 이런 개념을 제공하는데, 이것이 바로 패키지이다. 다음과 같이 카테고리를 만들고 분류해보자.여기서 user, product 등이 바로 패키지이다. 그리고 해당 패키지 안에 관련된 자바 클래스들을 넣으면 된다. 패키지(package)는 이름 그대로 물건을 운송하기 위한 포장 용기나 그 포장 묶음을 뜻한다.패키지 규칙패키지의 이름과 위치는 폴더(디렉토리) 위치와 같아야 한다. (필수)패키지 이름은 모두 소문자를 사용한다. (관례)패키지 이름의 앞 부분에는 일반적으로 회사의 도메인 이름을 거꾸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com.company.myapp과..
JAVA
생성자객체를 생성하는 시점에 어떤 작업을 하고 싶다면 생성자(Constructor)를 이용하면 된다.thispublic class MemberInit { String name; int age; int grade; //추가 void initMember(String name, int age, int grad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this.grade = grade; }}initMember(String name...) 의 코드를 보면 메서드의 매개변수에 정의한 String name과 Member의 멤버 변수의 이름이 String name으로 둘다 똑같다. 나머지 변수 이름도 name, age, grade로 모두 같다.멤버 변수와 메서드의 매개변수의 이름이 같으..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1 - 시작절차 지향 프로그래밍 vs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방식은 크게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으로 나눌 수 있다.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은 이름 그대로 절차를 지향한다. 쉽게 이야기해서 실행 순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방식이다.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순차적으로 따르며 처리하는 방식이다. 즉, "어떻게"를 중심으로 프로그래밍 한다.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이름 그대로 객체를 지향한다. 쉽게 이야기해서 객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방식이다.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실제 세계의 사물이나 사건을 객체로 보고, 이러한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프로그래밍하는 방식이다. 즉, "무엇을" 중심으로 프로그래밍 한다.둘..
기본형 vs 참조형1 - 기본자바에서 참조형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가장 크게 보면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용하는 값을 변수에 직접 넣을 수 있는 기본형, 그리고 이전에 본 Student student1과 같이 객체가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를 가리키는 참조값을 넣을 수 있는 참조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기본형(Primitive Type)int, long, double, boolean처럼 변수에 사용할 값을 직접 넣을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을 기본형이라 한다.하나의 값을 여러 변수에서 절대로 공유하지 않는다.참조형(Reference Type)Student student1, int[] students와 같이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참조(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