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프로세스간 통신(IPC)1독립적인 A, B 프로세스가 존재 이때 두 프로세스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 이걸 프로세스간 통신이라한다.독립된 프로세스라고 하면 독립된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기 쉽다.그런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프로그램의 개념을 다시 정리해보자.하나의 프로세스가 하나의 프로그램이다 라는 일반적인 생각이 있다.이러한 생각은 대부분의 경우에 해당하지만 반드시 해당하지는 않는다.실제로는 하나의 프로그램은 여러개의 프로세스로 구성이 되는 경우도 있다.하나의 프로그램이 여러개의 프로세스로 구성되어있다고 생각해보자1,2,3 번 프로세스가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면 1,2,3번 프로세스간의 통신이 이루어져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서 구성이 될꺼다.IPC(Inter-Process Communication)프로..
커널 오브젝트와 오브젝트 핸들커널큰 범위에서 OS라고 한다.OS(운영체제)에는 기본적으로 들어가 있는 프로그램이 많다.그래서 그런 프로그램들을 쉽게 사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도 많다예를 들면 그림판, 날짜관리, 미디어 플레이어, 익스플로러 등등모든 운영체제가 가지고 있는 핵심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을 커널이라 한다.실제 운영체제를 배우면은 이 커널에 대해 배운다.그래서 원래는 커널과 운영체제는 동일한 의미였다근데 시간이 흐르고 운영체제가 해주는 일이 늘어나게 되었고 그래서 그 의미가 분리가 되었다.즉 운영체제의 개념이 커져버렸다. 시간이 흘러도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은 크게 바뀌지 않았는데 이 부분을 커널이라 한다.커널 오브젝트커널에 의해 관리되는 리소스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 블록커널에 의해 관..
프로세스와 스케줄러의 이해프로세스(Process)의 이해프로세스란 무엇인가?프로세스란 메인 메모리로 이동하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exe를 더블 클릭 했을 때 윈도우 상에 떠있는 창이 프로세스…?메인 메모리가 프로세스…?메인 메모리에 올라와서 실제 실행중인 코드가 프로세스...?실제로 메인 메모리가 256M이고 실행 파일의 크기가 1GB라면 256M에 올라가 있는 코드만 프로세스냐…?예를 들어서, 벽돌깨기 게임이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고 이 게임의 실행파일 이름을 block.exe 라고 한다면 이것을 보통은 프로그램이라 한다. 이제 게임을 즐기기 위해 실행파일인 block.exe 를 더블 클릭한다. 이 순간 클릭한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 메모리 할당이 이뤄지고, 이 메모리 공간으로 바이너리 ..
컴퓨터 구조에 대한 두번째 이야기여기서의 컴퓨터 구조는 CPU에 국한되어 있다.컴퓨터 구조의 접근 방법컴퓨터를 디자인 하자CPU를 공부하는데에 있어서 직접 디자인 하는 방식으로 공부를 해보자프로그래머 관점컴퓨터 구조를 잘아는 프로그래머도 컴퓨터 디자인에 참여한다. 컴퓨터 디자인은 레지스터와 명령어를 디자인한다.레지스터와 명령어 디자인은 초기 단계부터 같이 병행되어서 전개가 되야 한다.왜냐면 명령어가 어떻게 구성이 되어 있냐에 따라서 레지스터 셋이 결정이 되고 레지스터 셋이 결정이 되야만 하드웨어 전체적인 구성이 나올 수 있다.따라서 프로그램 측면에서 레지스터와 명령어를 디자인 해볼꺼다.레지스터 디자인의 핵심레지스터는 몇 비트로 구성할 것인가?8,16,32,64(이 책에서는 16bit)보편적으로 레지스터는..
an_jjin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